<aside> 💡 이 자료는 정답이 아닙니다! 발표자 스타일, 프로젝트 방향성에 맞게 소화해서 사용하세요 😊
</aside>
[ ] 화면 공유 옵션 확인
[ ] 마이크 볼륨, 영상 볼륨 확인(시연자,발표자 음량이 동일한지 반드시 체크!!)
[ ] 스크립트 숙지 필수! (눈이 움직이는 게 화면에 다 보여요!)
[ ] 유튜브 라이브 채팅은 발표자와 시간 차이가 5~10초 정도 있음을 고려하여 스크립트 제작
[ ] 발표자를 제외한 팀원은 채팅 활용
[ ] 웹 시연할 때에는 F11로 전체화면 만들기 or 북마크 정리하기
[ ] 발표공유 화면에 다른 건 없는지 확인
[ ] 알림 끄기 (윈도우 알림 및 작업 설정) 특히 카카오톡, 디스코드, mm 알림 끄기!
[ ] 카메라 체크
[ ] 깔끔한 복장과 오디오 송출
[ ] 단축키로 화면 전환해서 발표 흐름이 끊기지 않게 하기
[ ] 로그인, 회원가입 등은 미리 해서 시간 절약하기
[ ] 텍스트는 클립보드에 저장해두고 바로 쓸 수 있게 하기
[ ] 발표자와 시연자가 다르다면, 사전에 합 맞추기
[ ] 서비스 안에서 음성을 사용한다면, 음성이 잘 송출되는지 체크하기
[ ] 서비스 내부 테스트 흔적 지우고 더미 데이터 넣기